안녕하세요! 세 살입니다. 이번 주제는 회계 원리 중 거래의 8요소에 대해 배워보려고 하는데요.
공부하기 전에 질문 하나 먼저 드리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일상생활에서 혹은 직장생활 내에서 가계부나 금전출납부, 전표 등을 작성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작성을 한 경험이 있었다면, 작성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생활비를 아껴보려고 작성을 했거나, 회사 업무라서 작성을 했다거나...
이유는 정말 다양하겠지만 여기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숨어있습니다!
공통점이 무어냐고요?
여러분들은 돈을 벌고 싶은 이유가 있으신가요?
모두가 내 집을 마련하고 싶고, 자동차도 사고 싶고, 혹은 사무실을 마련해서 창업의 꿈을 키우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돈이 있어야 내 집을 마련할 수 있고, 자동차도 살 수 있고, 사무실 마련의 꿈도 마찬가지입니다.
돈을 모아서 재산을 늘린다는 것은 결국엔 돈을 소비해야 가능한 일입니다.
여러분들이 잘 먹고 잘 살려면, 돈을 현명하게 소비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돈을 잘 벌고 싶다는 말은 회계원리를 배워야 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바로 내가 원하는 것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기 위해서는 거래의 8요소가 필요합니다.
회계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돈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투자자들 혹은 기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논리적인 설명자입니다.
그렇다면 회계원리에서 말하는 거래의 8요소는 무엇이냐?
회사에서 일하는 실무자들, 장부 기장을 하는 세무회계 사무소 직원들, 일상생활에서 가계부를 작성하는 사람들
모두 거래가 발생하면 내가 받아야 할 금액이나 지급해야 할 금액을 장부에 작성을 하게 됩니다.
이 때는 내 재산이 생길 수도 있고, 빚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이익이 나서 흑자를 볼 수 도 있고, 손실이 나서 적자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종류를 아무리 살펴봐도 5개밖에 안 되는 것 같은데, 어떻게 8요소가 된다는 것일까요?
회계에서는 차변과 대변이 존재하는데
차변은 입금과 비슷하고, 대변은 출금의 개념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입금은 무조건 차변이다!라고는 할 수 없지만, 예시 거래들을 보면서 익히다 보면 금방 내 것으로 만드실 수 있을 거예요!
장부를 기장할 때는 자산이 생기면 차변에 자산을 작성해주고, 대변에 어떻게 자산을 구매했는지 작성을 해주게 되는데
이때 차변과 대변의 합은 동일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문 1.
최근 날씨가 쌀쌀해져서 사무실에서 사용할 미니 난방기를 1대를 현금으로 199,000 원에 구입했습니다.
난방기와 현금 모도 자산 성질에 해당되는데요.
(계정과목이나 자산 성질 구분이 어려우신 분들은 지난 포스팅 내역 참고해주세요 ↓↓↓↓)
2022.02.17 - [세무랑 회계랑] - 복식부기 회계장부 계정과목
복식부기 회계장부 계정과목
회계공부를 하거나 장부기장을 할 때에 전표 하나하나마다 계정과목을 어떤 것으로 잡아야 할지 난감해했던 경험이 있었는데요. 오늘은 복식부기를 할 때에 주로 사용하는 회계장부 계정과목
taxjsdkk.tistory.com
단식부기 : 11월 04일 난방기 1대 199,000 원 구입
복식부기 : 11월 04일 자산(난방기 1대) 199,000 / 자산(현금) 199,000
(실무상 금액이 소액인 경우 자산이 아닌 비용에 넣기도 하지만, 설명을 위해 자산에 넣었습니다.)
단식부기는 회계를 자세하게 배우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는 가계부나 금전출납부를 작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복식부기는 회계원리인 거래 8요소를 사용하여 차변과 대변에 각 거래별로 분리하여 나눠주고,
회계계정에 알맞게 구분하여 장부를 작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과정을 분개라고 합니다)
회계를 생각하면 이것저것 복잡하게 숫자들을 계산해야 할 것 같지만,
의외로 계산보단 발생한 거래들을 각 기준에 알맞게 구분하고 분류하는 것이 주된 작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은 차변과 대변 모두에 사용이 되기 때문에 거래의 요소 중 6개를 차지하고 있고,
비용은 차변에, 수익은 대변에만 사용할 수 있어서 위의 6개 요소를 합치면 회계원리 거래의 요소는 총 8개가 됩니다.
p.s.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부가세 신고기간 (0) | 2022.02.03 |
---|---|
전자세금계산서 수정발급하는 방법 (0) | 2022.02.01 |
2021년 귀속 국세청 연말정산 하는법 2 (0) | 2022.01.31 |
2021년 귀속 국세청 연말정산 하는법 1 (0) | 2022.01.31 |
회계원리 자산 자본 부채 (0) | 2021.11.06 |
댓글 영역